Overview
프로젝트 개요
스마트 분리수거 가이드 앱 "EcoSort"
프로젝트 배경
- 국내 분리수거 실천율 50% 미만 (환경부 통계)
- 복잡한 분리수거 기준으로 인한 사용자 혼란
- 지역별 상이한 분리수거 규정
- 잘못된 분리수거로 인한 재활용률 저하 및 환경오염
비전 및 목표
비전
누구나 쉽게 올바른 분리수거를 실천할 수 있는 세상
목표
6개월 내 분리수거 정확도 30% 향상 및 사용자 인식 개선
핵심 문제
- 정보 부족: 복잡하고 지역별로 다른 분리수거 기준
- 접근성 부족: 필요한 순간에 정보를 찾기 어려움
- 동기 부족: 분리수거의 중요성과 효과에 대한 인식 부족
- 습관 형성 어려움: 지속적인 실천을 위한 동기부여 부족
해결 방안
- AI 기반 실시간 분류 가이드 제공
- 게임화를 통한 재미있는 학습 경험
- 지역 맞춤형 정보 제공
- 커뮤니티 기반 인센티브 시스템
대상 사용자
1차 타겟
20-40대 도시 거주자
(환경에 관심 있지만 실천에 어려움)
핵심 페르소나
김환경 (32세, 직장인)
- 환경보호에 관심이 많지만 바쁜 일상으로 실천 어려움
- 분리수거를 하려고 하지만 헷갈려서 포기하는 경우 많음
- 스마트폰 활용도 높음
박학생 (22세, 대학생)
- 환경에 대한 관심은 있지만 지식 부족
- 게임과 소셜미디어를 자주 이용
- 친구들과 경쟁하며 배우는 것을 선호
핵심 기능
MVP 핵심 기능
- AI 분류 인식: 카메라로 쓰레기 촬영 시 자동 분류 결과 제공 (95% 이상 정확도)
- 지역별 맞춤 정보: GPS 기반 현재 위치의 분리수거 규정 및 수거일 안내
- 게임화 요소: 포인트 적립, 레벨 시스템, 배지 획득, 친구 랭킹
- 교육 콘텐츠: 동영상 가이드, 환경보호 효과 시각화, 퀴즈
부가 기능 (추후 개발)
- 커뮤니티 기능: 지역별 현황 공유, Q&A 게시판, 환경보호 챌린지
- 인센티브 시스템: 포인트 교환, 파트너십 혜택, 탄소포인트 연동
사용자 스토리
US001: 사용자로서, 나는 쓰레기를 카메라로 찍어서 어떻게 분리수거해야 하는지 즉시 알고 싶다. 왜냐하면 매번 헷갈려서 잘못 버리는 경우가 많기
때문이다.
US002: 사용자로서, 나는 우리 동네의 분리수거 규정과 수거일을 확인하고 싶다. 왜냐하면 지역마다 규정이 달라서 이사 갈 때마다 혼란스럽기 때문이다.
US003: 사용자로서, 나는 분리수거를 재미있게 배우고 습관화하고 싶다. 왜냐하면 중요한 건 알지만 지속적으로 실천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.
US004: 사용자로서, 나는 내가 분리수거를 통해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확인하고 싶다. 왜냐하면 작은 실천이 얼마나 의미있는지 알고 동기부여받고
싶기 때문이다.
US005: 사용자로서, 나는 분리수거를 잘하면 혜택을 받고 싶다. 왜냐하면 환경보호 실천에 대한 보상이 있으면 더 열심히 할 것 같기 때문이다.
기술 요구사항
모바일 앱 (iOS/Android)
- 프론트엔드: React Native 또는 Flutter, 카메라 API, GPS, 푸시 알림
- 백엔드: Node.js + Express 또는 Python + FastAPI, PostgreSQL, Redis, AWS S3
AI/ML 시스템
- 이미지 인식: TensorFlow/PyTorch 기반 CNN 모델, Edge AI 최적화
- 데이터 수집: 국내 쓰레기 이미지 10만장 이상, 지역별 분리수거 규정 DB
외부 연동
- 지자체 API, 소셜 로그인, 결제 시스템, 푸시 알림 서비스
Dependencies & Risks
기술적 의존성
- AI 모델 정확도: 지속적인 학습 데이터 확보 및 모델 개선 필요
- 지자체 API 연동: 각 지자체별 API 제공 여부 및 데이터 형식 통일
- 카메라 성능: 다양한 기기에서의 카메라 품질 및 성능 최적화
- GPS 정확도: 실내/실외 환경에서의 위치 정확도 보장
외부 의존성
- 지자체 협력: 분리수거 규정 데이터 제공 및 업데이트
- 파트너십: 인센티브 제공을 위한 기업/지자체 파트너십
- 앱스토어 정책: iOS/Android 앱스토어 승인 및 정책 준수
- 개인정보 보호: GDPR, 개인정보보호법 등 규정 준수
위험 요소 및 대응 방안
기술적 위험
AI 정확도 이슈: 지속적인 학습 데이터 확보 및 모델 개선, 사용자 피드백 반영 시스템 구축
서버 부하: 클라우드 auto-scaling 및 CDN 활용, 캐싱 전략 수립
배터리 소모: 최적화된 AI 모델 및 백그라운드 처리 최소화
시장 위험
경쟁사 등장: 차별화된 UX와 지역특화 기능으로 경쟁우위 확보
사용자 관심도 저하: 지속적인 콘텐츠 업데이트 및 인센티브 제공
규제 위험
개인정보 보호: 최소한의 정보 수집 및 투명한 정책 공개
지자체 정책 변경: 실시간 정보 업데이트 시스템 구축
성능 및 품질 요구사항
성능 요구사항
품질 요구사항